한계이익 다른 말로 공헌 이익이라고 한다.
한계 이익은 아래와 같은 식으로 계산 되어 진다.
한계 이익 = 매출액 - 변동비(고정비 제외)
그럼 변동비에 대해서 알아 보자
변동비란, 조업에 따라 변동하는 비용으로 일반적으로 재료비, 외주가공비 등을 말한다.
- 변동비율 = 변동비 / 매출액
고정비란, 조업에 관계없이 일정하게 발생하는 비용으로 감가상각비, 보험료, 임차료 등이 있다.
- 고정비율 = 고정비 / 매출액
예를 들면 커피 한잔을 파는데 커피 가루, 종이컵 등의 가격이 500원 이고 판매 가격이 1,000원이라고 가정하자. 총 100 개를 팔았다면 매출액은 100,000원 이고 변동비는 50,000원이 된다. 그럼 이때의 한계이익은 50,000원이 됀다. 물론 요기서 임차료등의 고정비는 제외 하였다.
이윤 = 매출액 - 변동비 - 고정비
따라서, 이윤 + 고정비 = 한계 이익
이다.
이와 관련된 용어를 설명 하면 아래와 같다.
손익분기점 : 이말은 이윤이 0 이 되는 시점의 매출액을 말한다. 즉, 손익분기점 보다 많이 팔아야 이익이 남은다.
(판매량 * 판매가격) - (단위당 변동원가 * 판매량) - 고정원가 = 이익 = 0
따라서 손익분기점(BEF) = 고정비(F)/ (1 - (변동비(V)/매출액(S))
- > 손익분기점(BEF) = 고정비(F) / (1 - 변동비율)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-- 아래는 최근에 이러닝으로 듣고 있는 회계 이론의 Report 자료의 풀이이다. 참고용으로만 활용하자..
-- 이거 저작권에 위배 되남요.;;;ㅠㅠ?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1. 한계 이익 = 매출액 - 변동비 ==> 공헌 이익
공헌이익율 = 공헌이익 / 매출액
= 1/3 = 33.33333(%)
2. 손익분기점(BEF) = 고정비(F)/(1-변동비(V)/매출액(S))
손익분기점(BEF) = 5300/(1-10000/15000)
= 15900(천)원
손익분기점에서의 판매량 = 총 고정원가 / 단위당 공헌이익
즉, 손익 분기점에서의 매출 수량은 530kg 이다.
3. 목표 이익을 50만원으로 할 경우
판매량 = 총 고정원가 / 단위당 공헌이익
위 식에서 고정원가에 50 만원을 + 해주게 되면 총 매출 수량이 나온다.
목요이익 = 500(천원)
고정원가 = 5300(천원)
판매량 = 5800(천)/10(천) = 580kg
매출액 = 580*30000 = 17,400(천원)
매출액을 먼저 구하려면 ,
목표 매출액 = 고정비 + 목표이익 / (1 - 변동비율)
목표 매출액 = 5300(천) + 50(천) / 1 - 2/3
결과는 17,400(천원)으로 똑같다.
4. BEP(Break even Point) 달성을 위한 원가 절감 방법
한계 이익은 아래와 같은 식으로 계산 되어 진다.
한계 이익 = 매출액 - 변동비(고정비 제외)
그럼 변동비에 대해서 알아 보자
변동비란, 조업에 따라 변동하는 비용으로 일반적으로 재료비, 외주가공비 등을 말한다.
- 변동비율 = 변동비 / 매출액
고정비란, 조업에 관계없이 일정하게 발생하는 비용으로 감가상각비, 보험료, 임차료 등이 있다.
- 고정비율 = 고정비 / 매출액
예를 들면 커피 한잔을 파는데 커피 가루, 종이컵 등의 가격이 500원 이고 판매 가격이 1,000원이라고 가정하자. 총 100 개를 팔았다면 매출액은 100,000원 이고 변동비는 50,000원이 된다. 그럼 이때의 한계이익은 50,000원이 됀다. 물론 요기서 임차료등의 고정비는 제외 하였다.
이윤 = 매출액 - 변동비 - 고정비
따라서, 이윤 + 고정비 = 한계 이익
이다.
이와 관련된 용어를 설명 하면 아래와 같다.
손익분기점 : 이말은 이윤이 0 이 되는 시점의 매출액을 말한다. 즉, 손익분기점 보다 많이 팔아야 이익이 남은다.
(판매량 * 판매가격) - (단위당 변동원가 * 판매량) - 고정원가 = 이익 = 0
따라서 손익분기점(BEF) = 고정비(F)/ (1 - (변동비(V)/매출액(S))
- > 손익분기점(BEF) = 고정비(F) / (1 - 변동비율)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-- 아래는 최근에 이러닝으로 듣고 있는 회계 이론의 Report 자료의 풀이이다. 참고용으로만 활용하자..
-- 이거 저작권에 위배 되남요.;;;ㅠㅠ?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(주)ABC는 의류제조용 원면의 제조/판매업체이며 매월 결산결과 적자가 나고 있다. 다음의 월평균 재무자료에 의하여 ①한계이익 분석을 하고 ②손익분기점 매출수량 및 매출액을 산출하고 ③목표이익을 50만원으로 할 경우 목표매출수량 및 목표매출액을 산출하시오. 그리고 BEP를 달성하기 위한 원가절감 방법에 대해 서술하시오. 재무 자료
|
원가내역 분석 |
구분 | 금액 (천원) | % | 원가분석내용 |
생산/매출액 | 15,000 | 100.0% | |
제조원가 | 12,000 | 80.0% | |
(재료비) | 8,000 | 53.3% | 재료비 중 변동비율 100% |
(노무비) | 2,000 | 13.3% | 노무비 중 변동비율 20% |
(제조간접비) | 2,000 | 13.3% | 제조간접비 중 변동비율 40% |
판매관리비 | 2,000 | 13.3% | |
인건비 | 1000 | 6.7% | 100% 고정비 |
수도광열비 | 100 | 0.7% | 100% 고정비 |
소모품비 | 100 | 0.7% | 소모품비 중 고정비 50 |
광고선전비 | 300 | 2.0% | 100% 고정비 |
기타경비 | 500 | 3.3% | 기타경비 중 변동비 250 |
이자비용 | 1300 | 8.7% | 이자비용 중 고정비 800 |
경상이익 | -300 | -2% |
1. 한계 이익 = 매출액 - 변동비 ==> 공헌 이익
매출액 | 생산/매출액 | 15,000 |
변동비 내역 | (재료비) | 8000 |
(노무비) | 400 | |
(제조간접비) | 800 | |
소모품비 | 50 | |
기타경비 | 250 | |
이자비용 | 500 | |
합계 | 10000 | |
한계이익 | 5,000 |
공헌이익율 = 공헌이익 / 매출액
= 1/3 = 33.33333(%)
2. 손익분기점(BEF) = 고정비(F)/(1-변동비(V)/매출액(S))
고정비 내역 | (노무비) | 1600 |
(제조간접비) | 1200 | |
인건비 | 1000 | |
수도광열비 | 100 | |
소모품비 | 50 | |
광고선전비 | 300 | |
기타경비 | 250 | |
이자비용 | 800 | |
합계 | 5300 | |
변동비 내역 | (재료비) | 8000 |
(노무비) | 400 | |
(제조간접비) | 800 | |
소모품비 | 50 | |
기타경비 | 250 | |
이자비용 | 500 | |
합계 | 10000 | |
매출액 | 생산/매출액 | 15,000 |
손익분기점(BEF) = 5300/(1-10000/15000)
= 15900(천)원
손익분기점에서의 판매량 = 총 고정원가 / 단위당 공헌이익
총고정원가 | 5,300,000 |
단위당 공헌이익 | 한계이익(원) / 500(kg) |
10,000 | |
판매량 | 530 |
즉, 손익 분기점에서의 매출 수량은 530kg 이다.
3. 목표 이익을 50만원으로 할 경우
판매량 = 총 고정원가 / 단위당 공헌이익
위 식에서 고정원가에 50 만원을 + 해주게 되면 총 매출 수량이 나온다.
목요이익 = 500(천원)
고정원가 = 5300(천원)
판매량 = 5800(천)/10(천) = 580kg
매출액 = 580*30000 = 17,400(천원)
매출액을 먼저 구하려면 ,
목표 매출액 = 고정비 + 목표이익 / (1 - 변동비율)
목표 매출액 = 5300(천) + 50(천) / 1 - 2/3
결과는 17,400(천원)으로 똑같다.
4. BEP(Break even Point) 달성을 위한 원가 절감 방법
- 재무 자료를 보면 생산 능력은 600kg 인데 반하여 생산 실적은 500kg 이다. |
단위당 원가는 생산량의 증가에 비하여 총 고정비는 일정함으로 생산량이 증가함에 따라 원가가 절감 되게 된다. |
따라서 단위당 고정비는 하락하게 된다. |
즉, 손익 분기점의 530kg 만큼 생산량을 증대 시키면 된다.(가정: 생산된 제품은 모두 판매된다.) |
손익분기점(BEF) = 고정비(F)/(1-변동비(V)/매출액(S)) |
- 위 식에서 보면 BEF 를 달성 하기 위해서는 고정비 감소, 변동비 감소, 매출액 증가 이 세가지가 달성되면 된다. |
만약 생산량(판매량)이 일정하다면(500Kg) 손익분기점 자체를 감소시키는 방법으로 고정비, 변동비 의 절감을 통한 원가 절감을 통해 |
손익 분기점 자체를 낮출수 있다. |